강부로주식

폴리이미드 시장 글로벌 1위 PI첨단소재 베어링PEA 지분 매각 계약 파기와 향후 주가 전망

강부로 2022. 12. 13. 20:25
728x90
반응형

 

폴리이미드 시장 글로벌 1위 PI첨단소재

베어링 PEA 지분 매각 계약 파기와 향후 주가 전망

 

 

 

12월 8일 PI첨단소재는 베어링 PEA와 주식 매매계약(SPA)을 파기했다고 밝혔습니다.

베어링 PEA가 PI첨단소재의 최대주주 글랜우드 PE에 계약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통보한 것입니다.

 

 

2022.6.3 PI첨단소재 최대주주 글랜우드PE는 지분 매각을 추진,

베어링 프라이빗에쿼티(베어링 PEA)를 매수인으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베어링PEA는 인수 발표 후 계속되는 주가 급락을 이유로 거래 파기에 이르렀습니다.

베어링 PEA가 입찰 당시 써낸 가격은 주당 6만 원이었고

PI첨단소재의 주당 가격을 8만선으로 책정했습니다.

 

8일 당시 PI첨단소재 종가는 31,800원입니다.

시가총액도 1조원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베어링 PEA 지불금액(1조 2750억 원)에 크게 밑돌게 됐습니다.

 

 

PI첨단소재 측은 베어링 PEA가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한 것은 계약상 무효라며 계약이행을 촉구하였습니다.

계속해서 계약을 이행을 하지 않으면 베어링 PEA는 위약금 500억 원을 물을 수 있습니다.

계약 이행이 되지 않는다면 PI첨단소재의 최대주주 글랜우드PE는 잠재 인수 후보군과 다시 협상을 진행해야 합니다.

당초 진행된 공개입찰에는 프랑스 아르케마와 롯데케미칼, KCC글라스 등이 참여했습니다

칼라일그룹과 KKR, 블랙스톤 등도 인수타당성을 검토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한솔제지도 입찰 전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PI첨단소재 600일 일봉 주가차트

 

키움증권 PI첨단소재 600일 일봉 주가차트

 

 

 

PI첨단소재 600일 일봉 주가 차트입니다.

코로나19 초반 당시 최저 27,550원 하던 주가는 2021년 8월 67,800원 최정점을 찍었습니다.

2배 이상의 폭등이었습니다.

이는 아래 외국인 거래량의 그래프와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외국인이 거래량이 주가 흐름을 좌지우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고점을 찍은 후 주가는 60일선과 120일선까지 무너지면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기관의 매수량에 힘입어 반등과 하락을 거듭하며 주가는 약간 횡보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2022년 6월 베어링 PEA를 지분 매각 우선협상자로 선정하면서 주가는 곤두박질쳤습니다.

외국인은 정점 이후 하염없이 매도하고 있으며

매수량을 늘려가던 기관도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PI첨단소재 외국인 & 기관 순매매 거래량

 

네이버금융 PI첨단소재 외국인 기관 순매매 거래량

 

 

 

PI첨단소재의 외국인과 기관의 최근 1달간 순매매 거래량입니다.

12월 말로 예정되었던 베어링 PEA로 매각 추진이 마무리될 것을 예상하고

기관의 순매매량이 증가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의 매매량은 오히려 매도량이 더 많아 보입니다.

인수계약 파기를 통보한 다음날 12월 9일에 외국인은 91,179주를 대량 매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PI첨단소재 기본 개요

 

네이버금융 PI첨단소재 기본 개요

 

 

 

PI첨단소재는 국내 1위 폴리이미드(PI) 필름 회사입니다.

또한 PI(폴리이미드) 필름 세계 시장 점유율 32%로 1위 기업입니다.

듀폰, 가네카, 도레이보다 높은 점유율입니다.

 

 

PI첨단소재는 2008년 설립되었고 

설립 당시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합작했으며,  50대 50 지분을 투자했습니다.

이후 2020년 코리아 피아이 홀딩스가 지분 54.07% 전량을 인수하였습니다.

 

 

PI첨단소재는 오늘 종가 기준 30,650원으로

시가총액 9,001억 원이며 시총 순위는 코스피 234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9.51%이며 투자의견은 4.0 매수, 목표주가는 42,286원입니다.

 

 

 

 

 

PI첨단소재 기업 실적 분석

 

네이버금융 PI첨단소재 기업실적분석

 

 

 

PI첨단소재 기업실적입니다.

작년 매출액은 3,019억 원이고 올해는 전년대비 다소 낮은 2,908억 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올해 영업이익은 543억 원, 당기순이익은 498억 원으로 이 또한 전년대비 낮은 수치입니다.

부채비율은 54.80%로 낮은 편이고 유보율은 2693.39%로 높습니다.

주당 EPS는 1,694원을 예상하고 예상 주당 배당금은 1,090원으로 전년도 같은 금액입니다.

 

 

 

 

 

PI첨단소재 시세 및 주주현황

 

네이버금융 PI첨단소재 시세 및 주주현황

 

 

 

PI첨단소재는 올해 주가 수익률은 -42.09%로 저조한 성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까지도 좋은 흐름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최대주주로는 코리아 피아이 홀딩스가 54.07%를 보유하고 있고

대표이사인 김태림이 0.08% 갖고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은 8.39%의 지분율로 5% 이상 주주로 등극되어 있습니다.

 

 

 

 

 

PI첨단소재 150일 일봉 주가 차트 및 주가 전망

 

키움증권 PI첨단소재 150일 주가차트

 

 

 

2022년 6월을 기점으로 외국인의 보유 수량은 바닥을 기고 있는 모습입니다.

보유 수량을 늘려갔던 기관 또한 6월 이후에는 점점 보유량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이와는 달리 개인들은 최대주주 지분 매각을 긍정적으로 봤을까요? 보유 수량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습니다.

10월 말 주가 3만 원선이 깨지면서 외국인이 조금씩 매매량을 늘려가기 시작했습니다.

기관도 뒤늦게 살짝 매수량을 증가시키고 있는 모습입니다.

 

 

앞으로 PI첨단소재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까요?

이틀 연속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수하였습니다.

베어링 PEA로 지분 매각이 안 되는 게 호재인 것인지?

올해 4분기까지 매출 바닥을 찍고 내년부터는 실적 상승 기대감에 매수하고 있는지?

당분간 지켜봐야 할 대목입니다.

 

 

분명 PI첨단소재는 외국인의 매매량이 주가 흐름을 좌우해 왔습니다.

그래서 외국인의 거래 흐름이 매우 중요한 때입니다.

바닥을 기던 외국인의 보유 수량이 기관과 크로스 되며 조금씩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외국인이 계속해서 거래량을 늘리며 보유 수량을 증가시킬지 봐야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