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부로주식

에이디테크놀로지 디자인하우스 국내1위, 삼성전자 M&A 우선순위 될까?

강부로 2023. 2. 27. 21:14
728x90
반응형

 

에이디테크놀로지 디자인하우스 국내1위,

삼성전자 M&A 우선순위 될까?

 

 

 

 

지난 1월 로봇사업에 진심인 삼성전자가

로봇업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10.3%를 인수하였습니다.

금액규모는 590억 달하며 2대 주주로 등극할 정도로 대규모 투자였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주가는 당일 27.45% 상승하며 상승랠리를 시작하였습니다.

오늘도 17.89% 상승한 주가는 92,900원으로 장마감하였으며

1월 랠리 시작이후 32,600원 하던 주가가 185% 상승추이를 보여주었습니다.

삼성전자의 투자 위력이 어마무시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현재 사내유보금 145조 원의 현금을 쥐고

대규모 인수합병(M&A)에 나설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가장 우선순위로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기업들이 손에 꼽히고 있습니다.

 

디자인하우스는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팹리스와 파운드리의 중간 역할을 하는 국내 1위 디자인하우스 기업은

에이디테크놀로지입니다.

 

2009년에는 세계 최고으 파운드리 기업인 TSMC와 디자인하우스 파트너로

VCA(Value Chain Aggregator)를 맺고 일을 진행하였지만 그 이후

TSMC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삼성전자와 협력을 맺어 핵심파트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기업개요

 

네이버금융

 

 

 

국내 최대 반도체 디자인하우스인 에이디테크놀로지는 

2002년 8월 설립되어 반도체 소자의 설계 및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합니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ODM업체이며, 

시스템 반도체 요구를 받아 IP업체의 특정 IP와 파운드리 업체를 기반으로

시스템 반도체 칩을 개발, 생산하는 팹리스 기업입니다.

 

에이디테코놀로지는 오늘 종가기준 주가는 23,800원이고

시가총액은 3,174억원으로 시가총액 코스닥 241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1.42%이고 PER 24.71배, EPS는 963원입니다.

 

최대주주는 김준석 대표이사로 17.91%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주가 2.25%외에 모두 소액주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최근 외국인 기관 순매매 거래량

 

네이버금융

 

 

 

에이디테크놀로지 주가는

지난주 22일 삼성전자의 M&A 우선순위는 디자인하우스가 될 것이라는

뉴스에 전일대비 22.47%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위 거래량을 보시면 7,636,765주로 전일대비 15배 정도의 대량거래입니다.

거래량을 동반한 주가상승은 상승랠리의 시작을 알려주는 신호탄입니다.

 

그리고 다음 이틀동안 소소한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오늘은 잠시 쉬어가는 타이밍으로 보입니다.

 

만일 에이디테크놀로지에 대한 삼성전자의 지분투자 혹은 M&A 등

어떤 형태가 되더라도 연관이 되기만 한다면 주가는

레인보우로보틱스와 같은 폭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에서 디자인하우스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기에

삼성전자의 M&A 향방이 디자인하우스로 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습니다.

 

국내외 디자인하우스 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요즈음

우리는 국내 1위 디자인하우스 기업인 에이디테크놀로지에 주목해야 될 이유입니다.

 

 

올해 빠르면 2분기부터 늦어도 3분기부터는 반도체 업황 개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개선과 관련 업계 실적에도 봄바람이 불게 된다 합니다.

주가는 6개월 선반영 된다고들 하는데 에이디테크놀로지 주가는

1월 시작 대비 벌써 100% 상승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작은 시작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관심을 두고 지켜볼 기업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강남부자로, 강부로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