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부로주식

3분기 사상 최대 실적낸 카카오뱅크 주가 반등할 수 있을까?

강부로 2022. 11. 2. 19:14
728x90
반응형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낸 카카오뱅크 주가 반등할 수 있을까?

 

 

오늘 카카오뱅크 주가는 3분기 깜짝 실적에 힘입어 17% 넘게 뛰었다.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의 3분기 영업이익이 1000억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카카오뱅크는 올 3.4분기 4118억 원의 영업수익, 1046억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당기순이익을 포함해 영업수익과 영업이익 모두 출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미 전년도 수준을 넘어섰다. 이는 뱅킹부문 성장세에 힘입은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2021년 8월 6일 공모가 39,000원에 상장한 카카오뱅크는 

상장 첫날 종가기준 92,000원까지 오르며 인터넷은행의 기대감을 한 몸에 받고 승승장구할 것만 같았다.

하지만 아래 차트 흐름에서도 보듯이 잠깐 상승했을 뿐 하락의 골은 너무나도 깊었다.

지금은 공모가에서도 거의 반토막 날 지경이다.

환장할 노릇이다.

초록색의 60일선과 파란색 120일선을 하늘처럼 떠 받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어찌 이리도 60일선이 무거운지 뚫어보려고 하면 여지없이 다시 하락을 면치 못했다.

 

 

코스피의 급락으로 인해 카카오뱅크뿐만 아니라 카카오 4형제들도 모두 52주 신저가를 기록할 만큼 힘을 잃었다.

카카오 모회사는 왜 그리도 안 좋은 소식들만이 들려오는지 도대체가 도움이 안 된다.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과 자회사의 무분별한 상장 지속은 주주들의 분노를 일으켰다.

거기에 화재사고까지.. 어디가 끝인지 알 수 없는 혼란의 시기인 것은 틀림없다.

 

 

키움증권 영웅문4 카카오뱅크 300일차트

 

 

 

잠시 카카오뱅크의 기본을 알아본다.

카카오뱅크는 시가총액 9조 6518억으로 코스피 순위 33위이다.

외국인 보유율은 12.82%를 보이고 있고 투자의견은 그래도 매수의견이고 목표주가는 27,382원이다.

오늘의 기분 좋은 빨간색 흐름은 보기만 해도 즐겁다.

 

 

네이버금융 카카오뱅크 기업개요

 

 

 

 

카카오뱅크 기업실적분석을 보면

2019년부터 작년 2021년까지 높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여주고 있다.

돈은 잘 벌고 있는 회사라는 거다.

올해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1000억 이상, 700억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영업이익이 늘어난 만큼 주가에도 반영되어 높은 상승을 보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네이버금융 카카오뱅크 기업실적분석

 

 

 

카카오뱅크의 시세 및 주주현황이다.

아래 수익률을 보면 1년 내내 죽 쑤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1년간 수익률은 마이너스 72.93%로 환장한다.

 

대주주로는 카카오가 27.18%로 대주주로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 23.18%, 한국투자금융지주가 4.0%을 보유하고 있고 국민연금공단도 5.01%로 참여하고 있다.

그만큼 기관 또한 카카오뱅크의 기업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많은 지분을 갖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네이버금융 카카오뱅크 시세 및 주주현황

 

 

 

그럼 오늘 불기둥을 보인 카카오뱅크는 공모당시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까?

분홍색 20일선을 넘어선 것이 보인다.

개인들의 꾸준한 매수세가 그나마 이 주가라도 받치고 있지 않나 싶다.

외국인과 기관의 보유수량 그래프는 여전히 아래를 향하고 있는 모습이다.

 

 

오늘 카카오뱅크 주가는 불기둥을 보이며 17.05% 상승하며 2만 원을 돌파했으나,

아직은 초록색 60일선이 멀어 보이고 파란색 120일선은 만날 수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멀찍이 떨어져 있다.

현재의 추세를 보면 주가 반등을 언급하기에는 이르다는 생각이다.

좀 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60일선이라도 뚫고 상승하는 모습이 보일 때까지는 인내하며 기다리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다.

상승에 대한 희망보다는 우려의 골이 아직은 더 깊어 보인다.

좀 더 지켜볼 일이다.

 

 

키움증권 영웅문4 카카오뱅크 60일 차트

728x90
반응형